본문 바로가기
내 맘대로 쓰는 글

76. 이스라엘과 파키스탄 과의 관계

by 쌀라요 2025. 2. 19.
728x90
반응형

1. 이스라엘과 파키스탄 관계의 역사적 배경

(1) 이스라엘의 건국과 파키스탄의 입장

  •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파키스탄은 팔레스타인 문제이슬람 연대를 이유로 이스라엘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 파키스탄은 이슬람 국가들과 연대하여 이스라엘에 대한 비우호적인 외교 노선을 유지해왔고, 이는 아랍-이스라엘 전쟁과 맞물려 강화되었습니다.

(2) 파키스탄의 친아랍 정책

  • 파키스탄은 이슬람 국가들의 권익 보호를 중요한 외교 원칙으로 삼고 있으며,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아랍권 국가들과 보조를 맞춰 이스라엘을 비판하는 입장을 유지해왔습니다.
  •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집트 등 중동의 주요 국가들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이스라엘과의 직접적인 외교 관계 수립을 꺼려왔습니다.

2. 간접적인 갈등과 군사적 긴장

(1) 중동 전쟁과 파키스탄의 간접 개입

파키스탄군이 이스라엘과 직접 충돌한 적은 없지만, 아랍-이스라엘 전쟁(1948, 1956, 1967, 1973년 등) 동안 파키스탄은 **아랍 국가들(특히 요르단, 이집트, 시리아)**을 군사적으로 지원했습니다.

주요 사례:

  • 1973년 욤키푸르 전쟁: 파키스탄 공군 조종사들이 시리아와 요르단 공군을 지원하여 이스라엘과의 공중전에 참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이 전투에서 **파키스탄 공군 파일럿(특히 세커르 칸(Sattar Alvi) 대령)**이 이스라엘 전투기를 격추했다는 이야기는 파키스탄 내에서 영웅담으로 회자됩니다.

(2) 무기 지원 및 정보 교류

파키스탄은 **이란 혁명 이전(1979년 이전)**에는 이란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이란은 이스라엘과 비공식적으로 안보 협력을 하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간접적인 정보 교류나 무기 거래가 이루어졌다는 추측도 있습니다.

하지만 1979년 이란 혁명 이후에는 이란-이스라엘 관계가 적대적으로 변했고, 파키스탄은 이란 및 아랍권과 더욱 밀착하게 되었습니다.


3. 핵무기 개발과 이스라엘-파키스탄의 긴장

(1) 파키스탄의 핵무기 보유국 선언

파키스탄은 1998년 핵실험에 성공하며 핵무기 보유국이 되었습니다. 이는 주로 인도와의 군사적 경쟁 때문이었지만, 이스라엘도 파키스탄의 핵개발을 경계했습니다.

(2) 이스라엘의 우려와 예방 공격설

  • 이스라엘은 중동 및 이슬람권 국가의 핵무장을 강하게 반대해왔습니다. **1981년 이라크 오시라크 원자로 폭격(오페라 작전)**과 **2007년 시리아 원자로 폭격(오차드 작전)**에서 보듯이, 핵개발 저지를 위해 선제공격을 감행한 전례가 있습니다.
  • 2000년대 초반에는 이스라엘이 파키스탄의 핵시설에 대한 예방 공격을 고려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구체적인 군사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4. 현대 외교 관계와 변화의 움직임

(1) 비공식 접촉 및 관계 개선 시도

  • 최근 들어 일부 파키스탄 정치인 및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 **2020년 아랍에미리트(UAE)**를 비롯한 **여러 중동 국가들이 이스라엘과 국교를 정상화(아브라함 협정)**하면서, 파키스탄도 이 흐름에 동참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2) 국민 감정과 정부 입장

그러나 파키스탄 내 강한 반이스라엘 정서팔레스타인 지지 여론 때문에, 공식적인 외교 관계 수립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입니다.


5. 결론: 전쟁은 없었지만 지속적인 긴장

이스라엘과 파키스탄 사이에는 직접적인 전쟁이나 대규모 무력 충돌은 없었지만, 이슬람권 연대와 팔레스타인 문제를 둘러싼 외교적 긴장과 군사적 간접 충돌이 이어져 왔습니다.

현재도 양국 간 공식 외교 관계는 수립되지 않았지만, 지역 정세 변화와 실리 외교 흐름 속에서 미래 관계 변화의 가능성은 열려 있는 상태입니다.


핵심 요약 정리

항목내용

직접 전쟁 여부 없음
주요 갈등 요인 팔레스타인 문제, 이슬람권 연대, 핵무기 개발
간접 충돌 사례 1973년 욤키푸르 전쟁에서 파키스탄 공군 조종사 참전
핵무기 관련 긴장 파키스탄 핵개발에 대한 이스라엘의 우려
현대 외교 관계 공식 외교 관계 없음, 일부 관계 개선 논의 있으나 국민 반발로 어려움
미래 전망 중동 정세 변화에 따라 관계 개선 가능성 존재

이스라엘과 파키스탄의 관계는 전쟁보다는 지속적인 긴장과 상호 경계 속에서 전개되어 왔으며, 중동 및 남아시아 지역의 복잡한 외교 역학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내 맘대로 쓰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8. 힙합의 기원  (0) 2025.02.23
77. FATF란?  (0) 2025.02.23
75. 짜장면의 발전  (1) 2025.02.19
74. 후아니토 정신이란?  (2) 2025.02.19
73. 유럽 국방지출 확대  (0) 2025.02.19

댓글

쌀라요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